Top Secrets of Winning Marketing Competition
마케팅 전쟁에서 승리하는 비결
1. 마케팅 전쟁에서 실패하는 첫 번째 이유
결과, 성과, 목표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목표설정의 비밀: 목표를 설정하면 80% 이상 달성된다.
목표가 없으면 달성할 수 없다.
1)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라
이미 달성된 것처럼 현재형으로 설정한다.
어렵지만 달성 가능한 긍정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주체적으로/자신의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기술한다.
(예: 나는, 우리는 매출액 100억을 달성한다)
① 회사/부서/개인의 10가지 목표를 긴급한 순서대로 명시해 보자.
② 중요성과 긴급성을 고려하여 critical objectives 결정
목표 중요성 긴급성 critical priority
2) 성공한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 보라.
우리가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했을 때 어떤 상태/모습을 일까?
성공/달성도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3) clear objectives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한다.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는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매출/수익만이 목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왜 이 사업을 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
2. 마케팅 전쟁에서 실패하는 두 번째 이유
1) 전략과 전술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다.
- 전략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마스터 플랜/설계도/공정도이다.
- 전략은 궁극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자원의 시공간적 배치
- 전략은 목표지향적으로 다양한 조합의 전술들을 통합하는 지침
2) 다양한 marketing weapons/전술을 사용하지만 목표달성에 공헌하지 못한다.
- 전술은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기/수단
- 전술은 전략수행을 위한 단기적인 moves, steps, actions, measures
ex: 이라크 전쟁
목표: 바드다드 점령->후세인 체포->대량학살무기 제거
전략: 적을 압도하기 위한 과정/계획, 전술의 최적 조합
(육,해,공 공격, 전면과 측면 공격을 통해 적의 전력 약화/시장공략)
전술: 가장 최적의 무기/수단/조치/요소의 선택
3) 경쟁자를 압도하기 위한 방법
clear goals +right time +optimal combination of right tactics
3. 마케팅 성패를 결정하는 전략적 질문
무엇을 팔 것인가? consumer benefit, value, needs -> products & services
누구에게 팔 것인가?: segmenting & targeting
어떻게 포지션할 것인가?: positioning
누구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팔 것인가? distribution channel & selling method
어디에 팔 것인가?: geographical market
어떻게 알릴 것인가?: communication & promotion
지불 방법은 어떻게 할 것인가?: price & payment methods
어떻게 조달,생산할 것인가?: supply or manufacturing
언제 조달, 생산, 판매할 것인가?: timing
어떻게 보관, 운송, 배송할 것인가?: physical distibution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 after service & follow-up
4. 전략적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원칙
현재와 미래의 상황을 하나의 틀 속에 통합해야 한다.
자원과 노력의 낭비를 막고 효율적인 활용을 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전술도 전략에 입각하여 선택되고 실행되지 않으면 실패/낭비가 된다.
모든 마케팅 전술/활동은 마케팅 전략/목표/계획에 대한 적합성/공헌도에 의해 평가해야 한다.
5. 전략의 실천
1) 전략의 성패는 사고력과 실행력의 싸움이다.
- 최고경영자와 전략관리자는 갱쟁자 보다 더 현명한 사고를 해야 한다.
- 사업이 잘되고 있을 때도 ‘turnaround'를 항상 염두에 둔다.
- 만성적으로 잘 못되고 있는 부분은 즉각 바꾼다.
- 모든 마케팅 의사결정과 계획은 상황을 고려하여 zero base로 한다.
- 현재 하고 있는 전술/활동/조치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으면 중단하고 생각한 뒤에 실해한다.
2) 핵심 제품-시장에 집중
제품과 서비스의 정의
-고객의 관점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효용을 명확히 한다.
-고객이 추구하는 가치/효용과 제품의 특성이 일관성을 이루도록 한다.
" features have to tell the benefit to be sold"l
예: "We show customer how to clean their house by our product so they have a health & dust free environment"
예: 고객들이 평생 동안 두고두고 이야기 할 수 있는 특별한 휴가/여행 상품을 제공한다.
예: 고객이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가족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모든 것을 다하려고 하는 산탄총 사고에서 rifleman 방식으로 전환한다.
- focus: 원하는 것을 명확하게 해야 집중할 수 있다.
- 가장 수익성이 좋은 핵심 제품/서비스를 규명한다.
- 핵심 고객을 규명하고 이들에 대해 관계지향적 마케팅을 강화한다.
- 기존고객, 단골고객 관리에 집중한다.
- 신규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4배의 비용이 더 든다는 점을 명심한다.
- 특정한 소수의 고객에 대한 매출의존도는 15% 이하를 유지한다.
3) 핵심 인력 관리
- 회사에서 놓쳐서는 안 될 직원을 잘 파악하여 관리한다.
- 제품에 대한 지식과 시장에 대한 지식을 갖춘다.
- 대체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직원 관리에 주력한다.
- 인원을 대체하는 비용은 평균 1년치 연봉을 부담해야 한다.
- 교체에 따르는 비용을 고려할 때 봉급 인상이 보다 경제적이다.
- 각 직원의 강점 3가지를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라.
- 각 직원 스스로 자신의 약점을 찾아내어 극복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한다.
* 놓쳐서는 안 될 핵심 제품, 시장, 고객, 직원을 집중 관리해야 한다.
6. 성공을 제약하는 요인 규명
80%는 내부요인, 20%는 외부요인이므로 내부요인을 찾아라.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외부요인을 탓한다.
최고경영자는 결과에, 직원들은 올바르게 하는데 관심이 있다.
핵심적인 포지션에 능력이 없는 직원이 있는 경우가 많다.
왜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는가?에 대해 자문하고 원인을 찾아라.
무엇이 목표를 향해 나가지 못하게 하는가? 애로요인을 찾아라.
7. 성과의 측정
측정할 수 없으면 관리할 수도 없다.
주요 활동에 대한 목표치와 달성치를 체크하는 메트릭스를 개발한다.
측정지표를 설정하라.
시간계획을 세워 성과를 측정하라.
예: 판매량, 단위당이익, 방문객수, 1인당 공헌익, 재구매율, 구전효과
예: 방문자수 달성 -> 재방문율 제고
8. 공격의 목표와 원칙
-공격목표를 명확히 설정한다. 매출, 현금흐름, 순이익, 시장점유율, 인지도, 이미지, 신규고객, 재구매율 중 어떤 것을 위하여 공격할 것인가?
-표적시장을 명확히 한다. 가장 수익성이 높은 제품과 서비스를 찾는 고객이 누구인가?
-집중화/전문화/차별화 요소를 명확하게 한다. 경쟁분석 그리드를 이용하여 경쟁사와 다른 + 우수함 + 경쟁사가 가지고 있지 않은 자원과 능력(핵심역량)을 규명한다.
-마케팅 key success factors와 관련성이 높고 목표달성 공헌도가 높으며, 노력의 보수율이 높고, 제대로 실행할 수 있는 자원과 능력을 최대한 활용한다.
-잠재기회가 가장 큰 제품과 시장에 자원, 핵심역량, 노력을 집중한다.
하고 싶다는 의욕이 너무 강해 지나친 다양화나 다각화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도전자의 경우 자원과 능력이 우수한 시장선도자와 상이한 카테고리로 인식/분류되도록 하여 경쟁을 피하며 실리를 추구하는 것이 좋다.
'☆전략 기획 그리고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전략기획 (0) | 2007.10.24 |
---|---|
마케팅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3C 전략 (0) | 2007.10.24 |
고객반응을 높이는 광고물 제작 10가지 비결 (0) | 2007.10.24 |
한국 프랜차이즈 12개사 분석 (0) | 2007.10.24 |
차별화된 인테리어도 마케팅의 전략 (0) | 2007.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