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건강식품 시장 동향
□ 시장 개요
Ο 중국 건강식품 시장은 빠른 소득증가에 힘입어 2010년에는 1300억 위앤, 2020년 4500억 위앤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전망임. 중국 소비자들의 건강식품 소비는 총지출의 0.07%를 차지하고 있어 선진국 2% 소비수준에 비해 크게 떨어지고 있어 미래의 시장잠재력은 매우 큰 편임.
Ο 한편, 중국 건강식품 시장규모는1999년, 300억 위앤을 초과했으나, 2000~02년 동안 불경기에 따른 매출감소기를 겪었음. 그러나 2003년 SARS로 인해 시장규모가 전년대비 50% 확대돼 연매출 300억 위앤대를 회복함.
㈜ 중국에서 건강식품은 보건식품, 보건 화장품, 보건용품 등을 포함함.
(단위 : 억 위앤)
시기 |
단계 |
연간생산액* |
제품특징 |
|
80년대 |
시작 |
16 |
자양강장 |
|
1990~95년 |
발전 |
300 |
영양 및 전통 中草藥 |
|
1995~97년 |
위축 |
100 |
中草藥,생물製劑, 영양보충제 |
|
1998~2000년 |
회복 |
306 |
| |
2001~02년 |
침체 |
200 |
| |
2003~현재 |
회복, 안정 |
500 |
|
자료원 : 무역관 종합
생산기지 분포 불균형 |
북경, 광동, 강소, 상해 등 경제가 발달한 지역에 40% 이상이 분포함 |
기능품종이 단일 |
면역조절, 콜레스테롤 조절, 피로회복 등 3개 기능이 건강식품시장의 |
원료 중복 개발 |
해조류, fish oil, 상어연골, 은행,영지버섯 등 |
제품 형태 단일 |
캡슐, 알약, 과립형이 주류 |
□ 시장 동향
Ο 판매루트의 다양화
- 구매처는 약국, 전문점, 백화점, 병원, 슈퍼마켓 등임. 北京美蘭德醫藥信息咨詢사가 2005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약국에서 건강식품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58.5%에 달하고, 병원에서 구입하는 소비자는 17%임.
- 최근 인터넷보급 등 통신발전과 직판법(直銷法, 2005.12)의 시행과 함께 전자상거래, 직판, 전화판매 등의 새로운 마케팅방법이 나오면서 소비자들의 건강식품 구입처가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임.
Ο 주 구매목적은 선물용
- 소비자들은 건강식품을 주로 가족을 위해 구매하거나 선물용으로 구매를 하고 있고, 자신을 위한 구입은 적음. 주요 구매층은 아동, 노년층, 여성에 집중함. 수입산의 경우 젊은층 특히 아동이 주류이며, 미용 건강식품은 30~40세 여성에 집중됨.
Ο 구매시즌의 구분이 뚜렷함.
- 겨울에 보약을 먹는 것은 중국인의 오랜 전통으로 겨울철 매출이 높음. 여름은 매출이 가장 적은 계절이지만, 다이어트 건강식품이 잘 팔리는 편임. 한편, 5.1절, 10.1절, 구정, 추석 등 긴 연휴나 명절시즌에 판매가 잘됨.
Ο 현지 제조업체 신뢰도 위기
- 중국의 건강식품 업체는 대체적으로 규모가 영세함. 건강식품 생산업체 중 2/3가 중소기업이고, 상장회사와 연간매출액이 1억 위앤을 초과하는 업체는 극소수임. 또한 허위광고, 모조품증가, 품질저하 등 문제로 30% 이상의 소비자가 중국산 건강식품을 불신하고 있음. 따라서 수입산 건강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
Ο 중국산 및 수입산간 시장경쟁 치열
- 중국식품약품감독국에 따르면 2005년 6월까지 허가증 취득건수는 총 7129건으로, 이중 수입산이 476건에 달함. 현지 주요 대형업체는 외국과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한편, 해외 글로벌 유명업체들은 자금력(수매, 합병, 임대)과 연구개발력, 마케팅력 등을 빌어 중국내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음.
Ο 세계 유명업체, 고급시장에 초점을 맞춰
- 글로벌업체 20여 개사는 사무실 설치 또는 현지법인 설립 등 형태로 진출하고 있음. 이들은 고가 시장을 겨냥해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며 북경, 상해 등 대도시의 50% 이상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Ο 수입산 건강식품 중국시장 진출장벽 높아
- 외국 건강식품이 중국시장에서 유통되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에 부합돼야 함.
· 中國食品藥品監督管理國에 제품등록을 해야 함.
· 제품포장의 특정위치에 중문라벨이 부착돼야 하며, 상세한 중문설명서가 제품에 들어있어야 함.
(中國出入境檢驗檢疫國의 요구사항에 부합돼야 함.)
· 세관에서 발급하는 일반세금 및 증치세(부가세) 납세증서가 필요함.
- 상기 3개 조건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中國食品藥品監督管理國 제품등록인데, 또한 비용부담이 높아 진출에 큰 장애요인이 됨(구체적인 비용은 첨부사항 참고).
□ 우리기업 진출방안
Ο 한류 및 홍보를 통한 접근
- 최근 한국문화 특히 영화나 드라마는 중국에서 유행해 한국문화 및 식문화가 자연스럽게 전파되고 있으며, 이것은 대중 건강식품 시장진출에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함.
Ο 유력바이어와 협력 중요
- 건강식품 시장경쟁이 치열한 중국시장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제품과의 경쟁도 해야 함. 대리상과 브랜드를 동시에 키우기에는 중소기업으로서는 시간 및 기타 손실요인이 큼. 공급가격이 낮더라도 기존 판매망을 갖춘 실력 있는 대리상을 통한 시장진출이 바람직함.
Ο 한국제품 인지도가 높은 지역을 중점 공략
- 고가제품이 잘 팔리는 상해, 북경, 광주 등 대도시에 대한 마케팅이 중요하겠지만 한국제품 인지도가 높은 지역을 선정해 중점 공략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음. 우리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홍보비용이 적게 들고 소비자들이 쉽게 접촉할 수 있음. 우리나라 제품 인지도가 높은 지역의 예로는 우리업체 투자가 활발한 산동성, 동북3성 등을 들 수 있음.
Ο 신제품, 신재료 제품 개발에 주력
- 중국은 자원이 풍부한 나라로 벌꿀, 해조류 등을 이용한 건강식품은 현지생산을 하지 않고서는 중국산과 경쟁이 안됨. 중국에 없는 고려인삼이나 한국 고유 원재료를 사용한 건강식품 또는 하이테크 신제품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임.
Ο 기능성 단일화
- 수입품은 확실한 기능성을 바탕으로 중국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중국제품은 한약개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편, 외국제품은 기능성이 명확해 차별성이 있음. 예를 들면 ‘칼슘 전문제품’, ‘비타민 전문제품’ 등과 같이 기능성을 명확히 할 경우 소비자들의 구매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분석이 있음.
자료원 : 중국건강식품신식망 등
첨부 : 중국 건강제품시장 관련 절차 안내서 1부
참고사항 : 이 보고서는 2006년 7월에 작성 한 ‘中, 건강식품 소비급증 예상’을 수정 및 보충한 내용임
'☆프랜차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서비스업 개방 현황과 2007년 진출 전략 (0) | 2007.10.24 |
---|---|
중국 부유층 소비행태 분석 (0) | 2007.10.24 |
中 요식업 장사 잘된다 (0) | 2007.10.24 |
대만 식품 소비의 최근 동향 (0) | 2007.10.24 |
中 스타벅스, 직영체제로 제2의 도약 준비 (0) | 2007.10.24 |